건강검진 결과를 보다 보면, 빌리루빈(Bilirubin) 수치가 눈에 띌 때가 있어요.
“빌리루빈이 뭐지?”, “수치가 높으면 위험한가?” 궁금하셨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총 빌리루빈, 직접 빌리루빈, 간접 빌리루빈 각각의 의미와
수치가 높거나 낮을 때 어떤 질환이 의심되는지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 빌리루빈이란?
빌리루빈은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생기는 색소예요.
혈액 내에 일정량 이상 쌓이면 피부나 눈이 노래지는 황달이 생깁니다.
종류는 크게 세 가지!
구분설명
총 빌리루빈 (T-Bil) | 직접 + 간접의 합 |
직접 빌리루빈 (D-Bil) | 간에서 가공된 형태 (물에 용해됨) |
간접 빌리루빈 (I-Bil) | 간에 도달 전, 혈액 내 순환 상태 |
✅ 정상 수치
항목정상 범위 (mg/dL)
총 빌리루빈 | 0.2 ~ 1.2 |
직접 빌리루빈 | 0 ~ 0.4 |
간접 빌리루빈 | 0.3 ~ 1.0 |
⚠️ 총 빌리루빈이 증가하는 경우
총 빌리루빈이 높다는 건, 체내에 빌리루빈이 과도하게 쌓였다는 뜻!
다양한 간질환, 담도 폐쇄, 용혈성빈혈 등이 원인일 수 있어요.
질환수치 경향
급성 A형간염 | 평균 5.8±4.8 |
급성 B형간염 | 중앙값 2.0 |
만성 B형간염 | 평균 2.3 |
C형간염 | 평균 1.9~2.6 |
간암 | 3.5 ~ 5.2 |
간경변 | 평균 1.4 |
알코올성 간염 | 평균 3.7 |
비알코올성 간경변 | 최대 3.7 |
췌장암 | 직접 빌리루빈 우세 증가 (39% 사례) |
신생아용혈성질환 | 생후 2~5일 경미한 상승 |
🔴 직접 빌리루빈 증가 시 의심 질환
직접 빌리루빈은 간에서 처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담즙 정체나 간의 배출 기능 이상을 시사합니다.
- 바이러스성 간염: 93%에서 증가
- 췌장암: 91%에서 직접 빌리루빈 증가
- 급성 췌장염: 80%에서 상승
- 간경변증: 87%에서 증가
- 용혈성 빈혈: 4.0 mg/dL 이상이면 직접형도 증가 가능
🟡 간접 빌리루빈 증가 시 의심 질환
간접 빌리루빈이 높다는 건, 간에 도달하기 전 문제라는 뜻이에요.
보통 용혈(적혈구 파괴) 관련 질환에서 증가합니다.
- 후천성/유전성 용혈성빈혈
- 혈전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 (TTP)
- 갑상선기능항진증
- 급성 췌장염, 췌장암
- 만성림프성백혈병
- 간염 초기 단계
- 간경변 환자의 70% 이상에서 증가
⏰ 재검 기준 및 주의사항
구분수치 기준 (mg/dL)권장
총 빌리루빈 | 1.5 ~ 2.0 | 3개월 후 재검 |
총 빌리루빈 | 2.1 이상 | 1개월 내 재검 or 정밀 진료 |
직접 빌리루빈 | 0.5 ~ 0.6 | 3개월 후 재검 |
직접 빌리루빈 | 0.7 이상 | 1개월 내 정밀 진료 권장 |
🧪 정밀 검사 시 함께 보면 좋은 항목
- A, B, C형 간염 검사
- γ-GTP, AST, ALT, ALP
- 상복부 초음파, 복부 CT
- 간 기능 관련 전반적인 혈액검사
🌱 정리 요약!
빌리루빈 종류주요 상승 원인해석 포인트
총 빌리루빈 | 간염, 간암, 알코올성 간질환, 췌장암 등 | 전반적인 황달, 간 기능 평가 |
직접 빌리루빈 | 담즙 정체, 췌장암, 간경변 등 | 간에서 배출 기능 문제 |
간접 빌리루빈 | 용혈성빈혈, 간염 초기, 갑상선항진 | 적혈구 파괴 또는 간 유입 전 문제 |
📍 건강 팁
- 잦은 음주, 간에 부담 주는 약물 자제
- 피로감, 눈·피부 황달 시 즉시 내과 방문
- 정기적인 간기능검사 필수!
💬 빌리루빈 수치 해석이 궁금했나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꾹!
다음 포스팅에서는 γ-GTP 검사와 함께 간 수치를 총정리해드릴게요 😊
'일반 의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r-GTP 수치, 술 때문일까? 간 때문일까? (0) | 2025.04.26 |
---|---|
🦴 ALP 검사, 간과 뼈 건강의 신호등! (0) | 2025.04.24 |
🍷 AST / ALT 검사로 보는 간 건강! (0) | 2025.04.23 |
💉 Vitamin B12 검사, 당신의 피로와 빈혈의 진짜 원인? (0) | 2025.04.22 |
🍀 엽산(Folate) 검사, 빈혈과 혈관 건강까지 알려주는 숨은 핵심 지표!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