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부민이란?
알부민은 간에서 합성되는 주요 혈장단백질로
▶ 영양 상태, 간 기능, 수분 균형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예요.
혈액 속 단백질의 60% 이상을 차지합니다!
⚖️ A/G Ratio란?
- A/G ratio = Albumin / Globulin 비율
- 정상적인 경우 A가 G보다 많아야 합니다.
항목정상 수치
알부민 |
3.8 ~ 5.0 g/dL |
A/G 비율 |
0.9 ~ 2.2 |
📈 알부민 수치가 높을 때
원인설명
탈수 |
수분이 부족해서 상대적으로 농도 ↑ |
영양과다 |
고단백 식이로 증가 |
갑상선기능저하증 |
대사저하로 간 합성 단백질 ↑ |
과량 알부민 수혈 |
외부 주입된 경우 |
담석증 |
경미한 상승 가능 |
⚠️ 단독으로 심각한 질병 의미하진 않지만, 다른 간수치와 함께 해석 필요해요.
📉 알부민 수치가 낮을 때
질환별 주요 예시
질환수치 (g/dL)비고
간경변증 |
2.7~3.4 |
복수 유무 따라 다름 |
간암 |
3.0 ± |
A/G 역전 자주 발생 |
신증후군 |
1.9 ± 0.6 |
소변으로 단백질 다 빠짐 |
영양실조/흡수불량 |
↓ |
특히 노인에서 흔함 |
위암/대장암 |
평균 3.5 |
암 진행 시 감소 |
알코올중독 |
↓ |
간 기능 저하로 합성 감소 |
당뇨신장병 |
평균 3.2 |
단백뇨 유발 |
화상/복수 |
50% ↓ |
체액 손실에 따른 단백 유출 |
📉 3.1 g/dL 이하 → 정밀검사 필수
✔️ A/G ratio 1.0 이하 → 글로불린 과다 or 알부민 결핍 가능성
🧮 A/G Ratio가 낮다는 뜻?
A/G 비율이 낮다는 건:
자주 나타나는 상황
- 간경변
- 만성염증/자가면역질환
- 다발성골수종 등 글로불린 과잉 생성 질환
📅 재검 기준
구분수치조치
3개월 후 재검 |
3.2 ~ 3.7 g/dL |
경계선 수치 |
정밀진료 필요 |
3.1 g/dL 이하 |
간·신장 등 질환 의심 |
🧪 함께 보면 좋은 검사
검사의미
총단백 |
전체 단백질량 확인 |
AST/ALT, ALP, r-GTP |
간기능 상태 전반 |
A, B, C형 간염 검사 |
만성간염 여부 확인 |
소변검사 (단백뇨) |
신장 원인 감별 |
상복부 초음파/CT |
간경변, 간암, 복수 확인용 |
📝 요약정리
항목이상 수치의심 질환
알부민↓ |
< 3.8 g/dL |
간질환, 신증후군, 암, 영양결핍 |
알부민↑ |
> 5.0 g/dL |
탈수, 영양과다 등 |
A/G Ratio ↓ |
< 1.0 |
간경변, 만성염증, 글로불린 과다 |
A/G Ratio ↑ |
> 2.2 |
글로불린 결핍, 면역저하 가능성 |
💬 마무리 Tip
✅ 알부민 수치는 단순한 영양 지표가 아닙니다!
✅ 간, 신장, 면역계 상태를 알려주는 핵심 지표예요.
✅ 수치가 낮다면, 총단백・A/G・간기능・소변 단백질 함께 체크하세요.
📍다음 편에선 LDH관련 내용도 풀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