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형 간염 검사 완벽 정리|HBsAg, HBsAb, HBcAb, HBeAg, HBeAb 검사 해석과 의의
drmedi-info2025. 5. 3. 08:00
B형 간염(B hepatitis)은 간세포를 공격하는 HBV(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며, 간경화와 간암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질환입니다. B형 간염은 감염 초기부터 만성으로의 진행 여부, 그리고 회복 여부까지 다양한 상태를 혈액 검사를 통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검사 항목별 임상적 의의
검사 항목약어임상적 의의
B형 간염 표면 항원
HBsAg
현재 HBV 감염 상태 (급성, 만성, 보균자 등)
B형 간염 표면 항체
HBsAb
HBV에 대한 면역력 (백신 또는 과거 감염)
B형 간염 핵심 항체
HBcAb
HBV 감염 이력 파악 (급성, 만성, 회복 등)
B형 간염 e 항원
HBeAg
HBV 감염성 및 활동성 (바이러스 복제 활발)
B형 간염 e 항체
HBeAb
감염성 감소, 회복 및 비활동성 상태 의미
검사 방법: CMIA (화학발광 미세입자 면역분석법)
검진 주기: HBsAg 양성인 경우 정기적으로 간 기능 및 영상검사 필요
📊 B형 간염 주요 항목 검사 결과 해석
HBsAgHBsAbHBcAb결과 해석조치 사항
음성
음성
음성
B형 간염 미감염, 면역 없음
예방 접종 필요
음성
양성
음성/양성
백신 접종 또는 과거 감염 후 회복 상태
정상 (추가 조치 불필요)
음성
음성
양성
과거 감염 후 항체 생성 안 된 회복 상태
추적관찰 필요, 추가 항목 검사 고려
양성
음성
양성
현재 감염 중 (급성 또는 만성 가능성)
정밀검사 (HBV DNA, 간기능검사 등) 필요
📌 HBV 감염 시기별 마커 변화 표
감염 시기 HBsAg HBsAb Anti-HBc IgM HBeAg HBeAb
잠복기 후반
+
-
-
-
+ / -
-
급성 B형 간염
+
-
+
+
+
-
보균자 상태
+
-
+
-
+ / -
+ / -
과거 감염 후 회복 (최근)
-
++
+
-
-
+
과거 감염 후 회복 (오래됨)
-
+ / -
-
-
-
-
백신 접종 후 면역 형성
-
++
-
-
-
-
🧪 HBeAg / HBeAb 검사 결과 해석
HBeAgHBeAb의미조치
양성
음성
바이러스 증식 활발, 전염성 높음
6개월~1년 이내 재검사, 간기능 주기적 체크
음성
양성
감염성 낮음, 회복 또는 비활동성 상태
간 효소치 정상화 여부 확인, 추적 검사
음성
음성
혈청 전환기일 수 있음
정밀 검사 및 추적 관찰 필요
💡 추가 검사 및 관리 포인트
HBsAg 양성 시 정밀 검사 항목:
HBV DNA 정량
간기능검사 (ALT, AST 등)
HBeAg, HBeAb
상복부 초음파, 복부 조영 CT
치료 여부 결정:
HBV DNA 수치 및 ALT 상승 여부
HBeAg → HBeAb 혈청 전환 여부
📌 요양급여 기준 요약
HBsAg 양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 건강보험 요양급여 적용 가능
HBsAg 음성자 중 항체 음성자: 예방접종 필요 (개인 부담)
마무리 📝
B형 간염은 단순한 감염 여부를 넘어서 면역 상태, 전염성, 질병 진행 상태까지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질환입니다. 정기적인 검진과 정확한 해석을 통해 간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체가 없다면 예방접종을 통한 면역 획득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 수단입니다.